폐형광등 배출안내
폐형광등, 왜 분리배출을 하여야 할까요?
- 형광등은 미량의 유해물질인 수은을 함유하고 있어 반드시 안전처리 및 재활용이 되어야 하는 품목입니다. 폐형광등을 재활용 하지 않고 매립 또는 소각하였을 경우 형광등속의 수은은 형상이 변하지 않은 채 대기중이나 토양으로 스며들어 인체에 심각한 위협을 주게 됩니다. 형광등을 깨서 버릴 경우 공기중으로 수은이 노출되므로 반드시 깨지지 않게 전용수거함에 안전하게 배출합시다.
폐형광등, 폐건전지 반드시 분리수거함에 배출합니다.
- 배출방법 
- 폐형광등: 포장 제거 후 모양별[직관형(막대기형), 환형(원형), 안정기 내장형(전구형), 콤팩트형]로 구분한 후 깨지지 않게 가까운 분리수거함에 배출
- 폐건전지: 녹슬지 않게 물기를 제거하고 원상태로 분리수거함에 배출 
 ※ 리튬이차(이온/폴리머/인산철)전지는 부풀어 올랐을 경우 폐기 시 화재·폭발 위험성이 있으므로 전용수거함에 바로 배출하지 마시고 비닐랩으로 감아 구청 담당부서 또는 동 주민센터 담당자에게 직접 배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 
이것만은 꼭 지켜주세요.
- 백열등, 평판형·십자형·원반형 LED조명, 깨어진 형광등은 분리수거 대상이 아니므로 특수 규격 마대에 담아 배출합시다. 
 (단, 전구형·직관형 LED조명은 분리배출품목에 해당되어 폐형광등 수거함에 배출해주세요.)
- 수거함에 다른 이물질 무단투기 금지
- 재활용이 가능한 형광등의 종류 (출처: 한국조명재활용공사) 
재활용품 품목별 배출 방법 구분 형태 설명 직관형 
 형광램프
 [FL]유리관이 직관 형태로 전체 형광등에 차지하는 비율이 높고, 
 사무실, 공장, 상가 등에서 주로 사용
 규격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
 10W, 15W, 20W, 32W, 40W로 구분환형(원형) 
 형광램프
 [FCL]직관형 램프를 둥글게 구부린 구조로 주택의 방에 주로 사용되어왔으나 
 현재는 그 수요가 점차 감소되고 있음안정기내장형 
 형광램프
 [CFL]콤팩트형 형광등에 시동과 안정된 동작에 필요한 모든요소를 
 일체화 시키고 부품을 교환할 수 없도록 되어있는 형광등임
 백열전구 대체 형으로 주로 사용됨콤팩트형 
 형광램프
 [FPL]한쪽 베이스의 형광등로서 스타터가 내장하는 것과 
 내장하지 않는 것이 있는데 접합형태에 따라, P/D/T/W/M/G등으로 구분됨
우리 동 폐건전지·폐형광등 주민센터 분리수거함 위치
| 상세위치 | 주소(도로명 주소) | 장소명 | 
|---|---|---|
| 실내 | 강동구 아리수로93길 9-14 | 강일동주민센터 | 
| 실외 | 강동구 구천면로 633 | 상일1동 주민센터 | 
| 실내 | 강동구 고덕로98길 71 | 상일2동 주민센터 | 
| 실내 | 강동구 양재대로 1634 2층 | 명일1동 주민센터 | 
| 실외 | 강동구 상암로 260 | 명일2동 주민센터 | 
| 실외 | 강동구 양재대로156길 123 | 고덕1동 주민센터 | 
| 실내 | 강동구 아리수로78길 43-12 | 고덕2동 주민센터 | 
| 실외 | 강동구 올림픽로98가길 57 | 암사1동 주민센터 | 
| 실내 | 강동구 상암로3길 28 | 암사2동 주민센터 | 
| 실외 | 강동구 고덕로 137 | 암사3동 주민센터 | 
| 실외 | 강동구 구천면로42길 59 | 천호1동 주민센터 | 
| 실내 | 강동구 올림픽로80길 60 | 천호2동 주민센터 | 
| 실내 | 강동구 진황도로23길 7 | 천호3동 주민센터 | 
| 실내 | 강동구 성내로 13 | 성내1동 주민센터 | 
| 실내 | 강동구 천호대로 1050 | 성내2동주민센터 | 
| 실외 | 강동구 강동대로53길 76 | 성내3동 주민센터 | 
| 실외 | 강동구 천호대로 1183 | 길동 주민센터 | 
| 실내 | 강동구 양재대로84길 31 | 둔촌1동 주민센터 | 
| 실내 | 강동구 천호대로186길 7 | 둔촌2동 주민센터 | 
담당부서청소행정과 청소행정팀
문의02-3425-5860
최종수정일 2025-09-16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?
 
						

